본문 바로가기

킴의투자뉴스

SM 경영분쟁 시나리오

728x90
반응형

하이브의 SM엔터테인먼트(에스엠)[041510] 지분 인수 발표를 계기로 에스엠을 둘러싼 경영권 분쟁이 가열되고 있다.

에스엠 경영권 분쟁은 창업자인 이수만 대주주 겸 전 총괄 프로듀서와 그룹 방탄소년단(BTS)의 소속사 하이브 연합, 현 경영진과 카카오, 얼라인파트너스자산운용 측 간의 복잡한 대결 구도로 압축된다.

증시 전문가들은 10일 어느 쪽이든 단기간내 우호 세력을 많이 확보한 측이 이번 분쟁의 승기를 잡을 것이라며 앞으로 지분 확보 경쟁이 지속되면 경영권 분쟁의 당사자인 에스엠과 100% 자회사 디어유, 하이브, 카카오 등 관련 기업 주가도 당분간변동성이 커질 것으로 내다봤다.

◇ 에스엠 놓고 승기 잡은 하이브…'단기 지분확보가 관건'

이번 경영권 분쟁의 초점은 최대 주주인 이수만 측과 현재 이사회와 주주총회 의사봉을 쥐고 있는 현 경영진 간 힘겨루기로 요약된다.

이수만-하이브 연합과 현 경영진-카카오-얼라인파트너스 연합 측이 짧은 시간에 얼마나 많은 우호 세력(지분)을 확보하느냐가 관건이다.

일단 승기는 하이브 쪽으로 기울게 됐다.

하이브는 에스엠 창업주인 이수만 대주주가 보유한 지분 14.8%를 4천228억원에 인수하고 다음 달 1일까지 소액주주를 상대로 최대 25% 지분을 공개매수하기로 했다. 매입 가격은 주당 12만원이다. 통상 3월에 있을 정기 주총 전에 지분 인수를 끝내겠다는 전략이다.

앞서 카카오는 에스엠의 현 경영진과 손잡고 유상증자와 전환사채 발행을 통해 지분 9.05%를 확보하는 방안을 발표했다.

이화정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에스엠 최대주주 이수만-하이브 연합 구도가 형성된 것은 이수만씨가 이사회-카카오-얼라인 연합과의 지분 경쟁을 위해 우군 확보가 시급하기 때문으로 판단한다"고 말했다.

하이브는 우선 14.8%를 인수할 예정이다. 이수만 보유 지분은 카카오에 배정하기 위한 증자 발행 등으로 인한 주가 희석을 고려하면 16.8%로 낮아진다. 하이브는 추후 남은 이수만 보유 지분을 모두 매수할 것으로 관측된다. 여기에 에스엠 지분 4.2%를 확보한 컴투스[078340]도 이수만 측의 우군으로 분류된다.

이 연구원은 "하이브가 공개매수에 돌입하면 에스엠 지분을 40%까지 확보해 온전하고 유의미한 경영권을 갖게 된다"고 말했다.

안진아 이베스트투자증권 연구원은 "일단 하이브가 에스엠의 1대주주가 된 상황"이라며 "하이브가 매입에 성공하면 지분 40%까지 확보할 수 있어 최종적으로 에스엠을 가져가는 그림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다만 하이브는 자금 여력이 경영 분쟁의 승기를 잡기 위한 최대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 연구원은 "해외 레이블 인수 계획 등을 고려하면 에스엠 지분 40% 인수를 위한 자금 여력은 부족한 상황"이라며 "신주발행 등 추가적 자금조달에 나설 것"이라고 전망했다.

하이브 입장에선 주식 발행으로 주가가 10%가량 희석된다고 해도, 에스엠 기초여건(펀더멘털)을 고려하면 15∼25% 수준의 주당순이익(EPS) 성장을 기대할 수 있어 실보다 득이 크다는 계산이 나온다. 에스엠 지분 인수를 마치면 K팝 최대 사업자의 지위가 공고해질 것으로 보인다.

또 다른 문제는 에스엠의 주가다. 현재 주가는 경영권 분쟁에 불이 붙으면서 이날 장중 기준 11만7천원으로 52주 최고가를 기록했다. 이런 속도로 가면 하이브가 제시한 매수가 12만원을 넘을 가능성도 있다.

반면 카카오는 발등에 불이 떨어진 상황이 됐다.

이수만 대주주 측이 제기한 제3자 신주 및 전환사채 발행을 금지하는 가처분 신청 결과에 따라 지분 인수 계획을 새로 짜거나 이번 분쟁에서 고배를 마셔야 할 수 있다.

물론 카카오가 발 빠르게 우호 세력을 규합하거나 추가로 에스엠 지분 매입에 나설 가능성도 있다.

박성국 교보증권 연구원은 "카카오가 추가로 에스엠 지분을 어느 정도 매입하느냐에 따라 하이브가 1대주주로 올라설지 여부가 갈릴 것"이라며 "지분 경쟁이 확전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이효진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최대 주주인 이수만 씨 측이 제기한 가처분 신청이 인용되면 유상증자와 전환사채 발행이 무산되고 양쪽 진영 모두 지분 확보를 위한 공개매수에 돌입할 가능성이 있다"며 "가처분 신청이 기각되면 다음 달 주주총회에서 표 대결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에스엠 경영분쟁 시나리오·주가는…"단시간 지분확보가 관건" | 연합뉴스

(서울=연합뉴스) 윤선희 송은경 기자 = 하이브의 SM엔터테인먼트(에스엠)[041510] 지분 인수 발표를 계기로 에스엠을 둘러싼 경영권 분쟁이...

www.yna.co.kr


하이브가 에스엠을 인수하는 이유라고한다 엔터계 팬덤플랫폼 독과점이다

 

엔터업계는 하이브가 SM 인수전에 나선 이유 중 하나로 팬 플랫폼을 꼽고 있다. 위버스의 취약점을 버블이 보완해 줄 수 있고, 위버스에 입점하지 않은 아티스트의 대거 유입으로 규모도 한층 키울 수 있기 때문이다. 그로 인한 수익성 개선도 기대되는 상황이다. 한 엔터업계 관계자는 “하이브는 SM의 인수로 아티스트 라인업 확충뿐 아니라 공연 기획 및 제작을 맡고 있는 드림메이커, 팬 플랫폼 서비스 디어유 버블까지 확보하며 시너지를 낼 것으로 보인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