킴의투자뉴스

엔비디아 중국용 GPU H800 출시

AI킴 2023. 3. 22. 15:22
728x90
반응형

 미국 반도체기업 엔비디아가 생성형 인공지능(AI)에 사용되는 최신 GPU 'H100'을 출시하면서 중국에는 수출 규정에 맞춰 칩 성능을 낮춘 'H800'을 공급하고 있다고 로이터 통신이 2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미국 반도체 기업 엔비디아 로고

엔비디아 대변인은 이날 최신 GPU H100의 중국 수출용 버전 H800 개발 사실을 인정하며 H800이 알리바바 그룹과 바이두, 텐센트 같은 중국 기술기업의 클라우드 컴퓨팅에 사용되고 있다고 밝혔다.
 
GPU는 챗GPT 같은 생성형 AI에서 두뇌 역할을 하는 칩으로 엔비디아는 세계 GPU 시장의 90% 이상을 점유하고 있다.
미국 규제 당국은 작년 가을 중국이 군 현대화에 필요한 반도체와 인공지능 같은 핵심 기술을 개발하는 것을 막기 위해 수출 통제 규정을 제정, 엔비디아가 첨단 칩인 A100을 중국에 판매하지 못하도록 했다.
 
엔비디아는 이에 A100의 성능을 수출 규정에 맞게 낮춘 A800을 제작해 중국에 공급해왔다.
AI와 관련한 규정은 강력한 연산 능력과 칩 간(chip-to-chip) 빠른 데이터 전송 속도를 갖춘 반도체의 중국 수출을 금지하고 있다. 전송 속도가 느리며 AI 모델 훈련에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AI 개발에서는 전송속도가 중요하다.
 
중국 내 한 반도체 산업 소식통은 H800은 칩 간 데이터 전송 속도를 H100의 절반 수준으로 낮춘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엔비디아 대변인은 H800이 H100과 무엇이 다른지에 대해서는 밝히기를 거부한 채 "H800 시리즈 제품은 수출 통제 규정을 완전히 준수한다"고만 밝혔다.
 
 

엔비디아, 최신 AI칩 출시하며 성능 낮춘 '중국 수출용'도 선봬 | 연합뉴스

(서울=연합뉴스) 이주영 기자 = 미국 반도체기업 엔비디아가 생성형 인공지능(AI)에 사용되는 최신 GPU 'H100'을 출시하면서 중국에는 수...

www.yna.co.kr


엔비디아의 중국매출은 26% 나 된다
22년 9월 미 정부가 엔비디아의 주력 GPU제품인 A100과 H100의 수출을 통제하면서 타격을 입자 
2달 만에 A100의 성능을 낮춰 중국 수출 기준에 맞춘 "A800을" 개발하면서 위기를 넘겼었다 
 
추가로 이번엔 엔비디아 GTC에서 기존 A100모델보다 12배 성능향상된
모델 H100의 중국향 모델인 "H800"을  개발해 중국에 수출하고 있다고 발표한 것이다
 
엔비디아의 CEO 젠슨 황은 시기적절하게 변화에 대응을 잘하는 능력이 있는 것 같다
21년 메타버스 열풍시 이제는 메타버스의 시대가 올 것 이라며 엔비디아는 GPU를 앞세워 
메타버스 클라우드를 출시한 바 있다
 
이번 AI열풍으로 또한 이제는 AI시대가 올 것이라며 바로 생성형 AI지원 클라우드를 발표했다 
어느 시장이든 엔비디아가 빠질 수 없으며 시장을 다 먹겠다는 것이다
대단하다 정말 다시 전고점 346불 가는가!
 
 
참고로 좀 의심스러운 게 기존 GPU 성능의 절반으로 줄인 중국향 모델 A800, H800모델을
중국빅테크 기업들이 사용하고 있다고 하는데
데이터 전송속도가 중요한 AI개발에 절반의 성능인 GPU사용이 가능한가??이다 
 
혹여나 중국향 모델이 하드웨어는 동일하나 소프트웨어로 성능을 통제해놓지 않았을까?
표면상으론 수출기준에 적합하나 실제 중국기업에서 사용 시 락업을 풀면 원래성능으로
구현이 가능하게 설계를 해놓진 않았을까 하는 음모론적인 생각이... 그냥 잡생각을 해본다 
미국정부 기관이 그런 것도 모르는 호구는 아닐 테니..
 
 
 
 
 
 
  

728x90
반응형